조직을 프로세스 관점에서 바라보기
생산시스템관리
- 왜 공급을 할 수 있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는 즉각적이지 않은가
- 어떤 제약들이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능력을 제한하는지 살펴본다.
프로세스 흐름 분석
간트 차트
- 작업시간을 표현
- 프로세스 상의 작업 순서와 소요시간, 상호관계를 볼 수 있음
- 대기: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작업들에 존재하는 불확실성으로 생기는 것
프로세스 평가를 위한 3가지 요소
흐름률
(flow rate / throughput): 실제 흐름 단위가 프로세스에 진입, 떠나는 비율- \(\frac{흐름단위 수}{단위 시간}\)
- 흐름률이 오르면 생산 능력이 오른다.
- 유량: 특정한 시간동안 관찰하는 양
- 매출 원가(들어온 가격 기준)를 흐름률로 바라볼 수 있다.
흐름시간
(flow time): 하나의 흐름단위가 프로세스상에 머무는 시간- 흐름시간이 줄어들면 수요-공급 사이의 시간도 줄어든다.
재고
(inventory): 프로세스 상에 존재하는 흐름단위 수- 매출 원가 기준
- 가공중인 제품 WIP(work-in-process)도 재고에 포함
- 저량(stock): 특정 시점에서 관찰하는 양
리틀의 법칙
위의 세개와 수요 공급간의 관계가 있다.
- I = R * T (항상 성립)1
- I: 평균 재고 (flow time 동안 들어온 input)
- R: 평균 흐름률
- T: 평균 흐름시간
재고 관리 메커니즘
재고를 카운트 하는 방법
- input이 여러개일 경우 단순히 흐름단위만으로 재고를 표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 In terms of $s: I. 원가 기준
- In terms of days-of-supply(DOS, 공급일수): \(\frac{I}{R} = T\)
- In terms of inventory turns(재고 회전율): \(\frac{R}{I} = \frac{1}{T}\)
Turns and DOS at Kohl’s and Walmart
- 위의 사례에서 두 기업의 전략을 볼 수 있음.
- Kohl’s: 회전률이 낮은 대신 마진을 높임
- Walmart: 마진이 낮은 대신 회전률을 높임
- 공급 일수와 회전율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재고가 부담이 되는 이유
- 이자비용
- 유지비용
- 재고가 구식으로 변함
- 물리적으로 부식됨
- 사라질 수 있음
- 저장공간과 추가적인 간접비 유발
- 품질의 저하에 따르는 추가적인 비용 존재
- 제품 당 재고 비용: \(\frac{단위 시간 당 재고 유지 비용}{단위 시간 당 재고 회전율}\)
재고 유지의 다섯 가지 이유2
- 재고 유지는 기업 입장에서 부담이 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지하는 이유가 있다.
- 수송중재고(pipeline): 프로세스에 존재하는 재고
- 계절재고(seasonal): 공급 능력은 고정되어 있는데 수요는 변동하는 경우(예측 가능한 수요), 미리 만들어둠
- 계절 재고 vs 주기 재고
- 계절 재고 vs 안전 재고
- 계절 재고: 수요가 예측 가능할 때
- 안전 재고: 수요가 예측 불가능할 때
- 주기재고(cycle): 한 번에 많이 사는게 싸다. 규모의 경제 이용한 비용 절감
- 완충재고(buffer, decoupling): 프로세스상의 작업 사이의 지속적 공급을 가능하게 해줌. 단 제고가 계속 쌓이지 않게 line balancing(각 프로세스에서 진행하는 일의 양의 밸런스)을 해줘야 함
- 안전재고(safety): 불확실성에 대비해 예측된 수요보다 더 많이 재고를 유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