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세스 성과에 미치는 변동성의 영향: 산술 손실

생산시스템관리
공개

2025년 4월 28일

example: Food Truck

  • 변동(동일한 확률 가정)
    • 수요
    • 공급할 수 있는 양
  •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 경우로 인해 평균 흐름률이 실제랑 다름.
    • 변동성이 흐름률에 영향을 미침
    • buffer가 있으면 흐름률 높일 수 있음

buffer의 역할

변동성으로 인해 capacity가 낮아지는 이유

  • 변동성이 없다면 cycle time은 1/capacity
  • 변동성이 있다면 cycle time은 늘어남. (시뮬레이션으로 계산)
  • 버퍼가 있으면 용량이 커질수록 1/capacity로 점점 줄어듦.
  • cell layout을 사용하면 cycle time을 제일 많이 줄일 수 있음.

buffer를 둘 수 없는 상황: 병원외상센터

  • 대기해야 할 상황이 있으면 다른 병원으로 이동
    • diversion 상태, loss(service를 못 받음)

Diversion 상태 확률

  • D < C 가정하지 않음

  • 도착 간격은 지수분포 가정 (processing time 분포는 가정 안함)

  • 대기하지 않고 바로 이탈한다고 가정

  • \(P_m\): 내재활용률자원의 수에 의해 결정됨

  • \(r = um = \frac{p}{a}\), 해야하는 일의 양을 의미

    • 단위: Erlang

Erlang Loss Table
  • 들어온 인원(흐름률): \(\frac{1}{a}(1 - P_m(r))\)
  • 안 들어온 인원: \(\frac{1}{a}P_m(r)\)

Erlang Loss Table

얼랑 솔실 공식1

맨 위로

각주

  1. diversion 확률, 꽉 차있을 확률, 도착한 환자가 서비스 받을 확률, 다른 병원으로 갈 확률 시험에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