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관리

생산시스템관리
공개

2025년 4월 30일

프로젝트 vs 프로세스

  • 프로젝트: 일회성, 하나의 흐름단위, 제한된 시간 내에 완료해야 됨
    •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여러 활동들의 배치와 계획
  • 프로세스: 지속적, 여러 흐름 단위

주경로 기법(Critical Path Method, CPM)

  • 프로젝트 완료 시간 계산
  • 종속성 path 중 가장 긴 path가 주경로. 즉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는 가장 짧은 시간.
    • 이 path의 활동이 지연되면 프로젝트 전체가 지연됨
    • 프로세스 흐름도에서 개별작업의 처리능력이 중요했던것과 달리 프로젝트 종료 시간이 중요.

주경로 찾기

  • EST: 각 활동이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 max(선행 activity의 ECT)
  • ECT: 각 활동이 가장 빨리 끝날 수 있는 시간. EST + cost
  • LCT: 각 활동이 가장 늦게 끝날 수 있는 시간. min(후행 activity의 LST)
  • LST: 각 활동이 가장 늦게 시작할 수 있는 시간. LCT - cost
  • Slack: LST - EST. 0이면 주 활동

불확실성 하에서의 프로젝트 관리

  • CPM(Critical Path Method): 소요 시간이 정확하게 알려져 있다고 가정
  •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소요 시간이 불확실하다고 가정

가정

  1. 주 경로는 각 활동의 평균 소요시간으로 구함
  2. 주 경로는 바뀌지 않음
  3. 각 활동의 소요시간은 독립적임
  4. 각 활동의 소요시간이 정규분포를 따름

특징

  • \(d_1, d_2, ..., d_n\)이 확률변수이면 프로젝트 완성시간 (\(X\))도 확률변수
  • \(d_1, d_2, ..., d_n\)이 정규분포를 따른다면 \(X\)도 정규분포를 따름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