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 전문가(진)입니다.

adp
후기
공개

2025년 3월 14일

시험 결과

Intro

adp 필기시험 34회차 결과가 나왔습니다. 당연히 합격했고요. 제가 말했죠? 서술형을 몰라도 객관식을 70개 이상 맞추면 합격이라고요. 저는 69개를 맞췄지만 말입니다. 하하.

..사실 뭐 딱히 자랑스러운 결과는 아니긴 합니다. 서술형 1.5점 받은 주제에 데이터 분석 전문가라고 말 할 수 있을까요? 하지만 제가 합격한건 오직 필기. 전 아직 데이터 분석 전문가가 아닙니다. (제목을 봐주세요. 데이터 분석 전문가(진)입니다.)

처음 adp 시험을 준비하려고 생각한 것은 데이터 분석 분야에 입문을 하기 위해서였기 때문에, 그런 측면에서 저의 목적은 달성했다고 생각합니다. 실기 시험은 더 구체적인 통계론이나 머신러닝 로직 등을 꽤 오랜시간 자세히 공부해서 치루려고 합니다.

리뷰

생각보다 시험에서 다루는 내용의 범위가 넓었습니다. 암기식 공부가 주가되는 자격증 시험의 특성상, 이는 굉장히 힘든 일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그래도 데이터 분석 분야의 내용들을 포괄적으로 다루다 보니, 확실히 입문을 하기에는 괜찮은 resource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몇 가지 아쉬운 점을 꼽자면, 2 단원 데이터 처리 기술들이 조금 old한 내용들을 다루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또, 5 단원 마지막 부분의 데이터 시각화 tool을 구체적으로 다루는 부분은 이걸 꼭 다 외워야하나 싶은 느낌이 들었고요. (근데 이번 시험에서 이 부분은 안 나왔습니다.) 사실 이 정도만 아는 것으로도 앞으로 학습을 이어나갈 수 있는 좋은 발판이 되어준다고 생각합니다.

Outro

이제 실기 시험을 준비해야죠. 올해 볼까.. 내년에 볼까.. 고민입니다. 처음 목표는 졸업 전 까지 adp 자격증을 따는 거였고, 졸업까지 아직 2년이 남았으니까.. 여유롭게 준비해보려 합니다.

그럼 저는 adp 실기 준비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맨 위로